티스토리 뷰

엔비디아 로고

1. 엔비디아는 어떤 회사인가?

엔비디아는 미국의 GPU 설계 회사이며, 내장형이 아닌 독립형 GPU 유통시장 점유율,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핵심부품인 영상처리를 담당하는 GPU 분야 1위의 기업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영상처리 및 인공지능 학습에 GPU가 CPU에 비해 유리하다는 것이 알려져 엔비디아는 엄청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가상화폐 채굴에 GPU가 많이 쓰이면서 품귀현상까지 벌어졌다. 그러나 2018년 시가총액이 1600억 달러까지 갔다가 암호화폐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듦으로써 GPU 재고가 누적되고, Geforce20 시리즈가 시장에서 실망을 하면서 800억 달러 수준으로 반토막이 났다. 하지만 코로나 시국에 최고로 각광받는 비대면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자리 잡으며, 2000억 달러를 도달했다. 최근에는 인텔도 추월하고 삼성전자도 뛰어넘으며 시가총액 3000억 달러를 돌파하는 기염을 토해내었다. 

크게 매출 비중은 비디오 게임 관련 제품과 데이터 센터 부분으로 나뉘어있고, 앞으로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2020년 4분기 기준으로 매출액은 31억 500만 달러이며, 작년 동기 대비 41%나 상승한 수치이다. 데이터 센터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게이밍 사업부 매출의 비중은 작년 1분기 이후로 50% 미만으로 감소했다.

엔비디아의 직원은 만3000명이 넘으며, 5년 차만 되어도 억대 연봉이 넘는 고급 인력들로 포진되어 있다. 

2. 엔비디아의 시작

엔비디아는 1993년 대만 출신의 젠슨 황과 미국인 커티스 프리엠, 크리스 말라 초스키가 설립한 GPU 제조회사이다. 젠슨 황은 대학생 시절 랩에 있던 AMD 포스터를 보고 반해서 AMD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엔지니어가 되기로 결심합니다. AMD에 다니다가 나와서 창업한 회사가 엔비디아이며, 초기에는 CPU를 기획했지만, 해당 시장이 너무 진입하기 힘든 시장이라고 판단하여 GPU로 변경했다. 초기에 출시된 그래픽 카드 NV1은 성능은 낮고, 가격은 높아 시장에서 실패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1997년 출시된 RIVA 128이 크게 히트 치면서 전 세계에 이름을 알렸습니다. 

이후 경쟁사였던 3dfx의 지적재산권을 모두 인수한 뒤 3 dfx의 기술이었던 SLI를 지포스 6에 변경하여 탑재하였다. 현재는 소프트 뱅크사에서 가지고 있던 ARM 지분도 사들여 한 단계 또 다른 도약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2016년 이후로 실적이 급격히 올랐고, 2020년 드디어 인텔의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반도체 회사로써 TSMC와 삼성전자에 이어 3번째로 큰 수치이며, 미국에서는 1위이다. 이는 미래성장성 관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서이다.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GPU를 테슬라와 아우디, 벤츠와 체결하였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사용되는 데이터센터 반도체 시장에서도 실적이 잘 나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딱 맞는 대표적인 회사로 자리 잡았다.  

3. 엔비디아의 미래

엔비디아는 컴퓨터에 장착되는 그래픽 카드의 GPU를 개발 및 제조하는 회사로 시작해서 최근에는 영상처리를 위한 연산작업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GPU의 수요도 덩달아 급증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기 위한 딥러닝 연산은 CPU에 비해 GPU가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에 또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소재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GPU를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주자인 엔비디아는 당연히 엄청난 수혜를 받을 수 없고, 그 수혜는 현재도 진행형입니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적 난제를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 엔비디아의 DNA인 것처럼 단순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에 이르기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경쟁력은 ARM 아키텍쳐를 단지 차용해서 쓰는 것이 아닌, 그래픽 코어와 내부 컨트롤러 등을 통하 해 테그라라는 전력과 성능 모두를 만족하는 SoC를 완성하는 것입니다. 이런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것이며, 향후에도 GPU분야 1위를 유지시킬 원동력입니다.

미래에는 AR, VR, 자율주행 자동차, 암호화폐 등 신기술은 거의 대부분 GPU를 필요로 합니다. GPU 개발의 최 정점에 있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는 최근 3년간 공급이 부족할 만큼 수요가 많은 것을 경험했습니다. 미래에 더 각광받는 엔비디아의 기술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화할지 더욱 궁금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